De Fundatie 박물관 상부에 놓여진 루비볼형태는 즈볼러시를 밝히는 등대로, 1930년대 건립된 네오클래식 양식의 건축물과 묘한 대비를 이룬다. 그당시 유행하는 전형적인 코트하우스 형태의 건축물은 지금 국제적인 예술작품과 조각품 그리고 진기한 물품을 전시, 수장하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번 박물관 증축 프로젝트는 19세기 형성된 파크랜드와 광장시장을 연결하는 장소성의 고취와 박물관 내에 부족한 공간확보에 그 취지를 두고 있다. 특히 네오클래식한 기존 건축물의 양식에 반하는 거대한 유선형 볼륨은 장소를 압도하는 인상적인 시퀀스와 360도 도시를 조망 할 수 있는 파노라마 뷰 포인트를 제공한다. 상이함을 넘어서 확연히 다른 두개의 건축양식은 수직으로 접합되며 최상층에 카페테리아와 전망대를 그 하..
뒤스부르크 수변가에 새로운 랜드마크가 들어선다.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주립 문서보관소로 사용되는 새로운 건축물은 1930년대 지어진 웨어하우스를 리노베이션하여 거대한 아이콘으로 재탄생 시킨다. 여기에 수변가를 따라 뱀과 같이 구불거리는 저층부를 신설, 리딩룸과 오피스 그리고 창고를 비롯한 유틸리티 룸을 배치 계획한다. 신구의 조화로운 벽돌은 기존 건축물의 브라운 벽돌과 새로운 다크 레드 벽돌의 병렬 접합으로 동질하며서도 상이한 대비감을 생성시킨다. reviewed by SJ A house-shaped tower with no windows rises from the roof of an ageing warehouse to create a new archive building for the state ..
중국 북서부 유서깊은 작은 마을 강가에 거대한 연꽃이 피어난다.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투영된 Wuzhen 극장은 "쌍둥이 연꽃"을 모티브로 1200석 규모의 대형극장과 600석 규모의 소형극장으로 구성된다. 이는 이곳에서 열리는 축제와 관광에 대한 수요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물로, 퍼포먼스 공연과 아방가르드 창작공연, 패션쇼, 컨벤션 그리고 웨딩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더불어 지원한다. 아이텐티한 외형적 특징을 보이는 극장은 볼륨의 중심을 기점으로 우측으로는 슈퍼벽돌을 사용한 솔리드가 좌측으로는 중국전통창 문향을 재해석한 지그재그 팬으로 볼륨이 감소하는 타원형을 띈다. 이러한 극적인 대비는 수변위에 극적인 시퀀스를 형성하는 한편, 대지의 솔리드와 물의 보이드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자연을 건축 속에 동기화 시..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고성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과거의 기억을 현재의 공간 속에 투영하는데서 시작된다. 잉글랜드 워릭셔 지방의 너니턴에 위치한 12세기 고성은 1978년 화재로 상당 부분이 망실, 방치되었던가 최근 witherford watson mann 에 의해 새롭게 재구성된다. 건축가는 이러한 장소적 특징을, 기존 기억을 연장시키는 주말주택으로 복원하여 장소성을 부각 시키는데, 이것은 최소한의 건축으로 허물어진 성곽을 유지한채 새로운 벽돌을 덧붙여 공간을 완성하는 이종접합을 추구한다. 그리하여 완성된 주말주택은 클래식과 현대의 모던함이 공존하는 합성공간으로 저층부에는 공용부를 상층부에는 건축주의 안락한 여가를 위한 침실과 욕실이 배치된다. reviewed by SJ the 2013 RIBA stir..
러닝스페이스는 소통지향형 배움의 공간으로 개별적인 집중실과 내부 중심에 위치한 보이드 스페이스 및 인터렉션 스페이스로 구분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공간구성은 엄격한 그리드 내에 규칙을 내외부 적용하며 두드러진 대비 속에 심플하지만 리드믹컬한 디자인 경향을 보여준다. 1.5미터 간격으로 디자인된 버티컬 핀은 프리케스트 콘크리트를 이용, 벽돌과 유리의 대비감을 연계하는 장치이자, 건축물의 전체 외형적 특징을 정의하는 디자인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앞서 말한 소통지향형 내부 보이드 스페이스와 계단실은 밀집된 내부공간을 원활하게 연속시키는 숨구멍으로 내부공간의 구심점이 된다. reviewed by SJ ORTUS, home of Maudsley Learning is a 1,550sqm pavilion housi..
방글라데시 가이반다 근처에 위치한 프렌드쉽 센터는 지역 경제, 문화 부흥을 목적으로 비영리단체 NGO가 운영하며 지역주민들의 교육 및 직업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리셉션 파빌리온, 오피스, 도서관, 교육/컨퍼런스 룸 및 파빌리온, 기도실 등으로 구성된 퍼블릭 스페이스 카 블록과 직원 및 가족숙소, 기숙사, 식당으로 구성된 챠블록으로 구성된다. 특히 지면으로 부터 선큰된, 홍수위보다 낮은 건축물의 위치는 지진으로 부터 건축물을 보호하기 위한 건축적 장치로 습지대의 토양에 단층으로 구축, 프렌드쉽 센터만의 독특한 건축환경을 생성한다. reviewed by SJ The Friendship Centre near the district town of Gaibandha, Bangladesh, is for an NG..
폰티 스포츠 컬리지는 공원내 스포츠 시설간의 중요한 연계지점으로 각 공간들을 링크시킨다. 2200명의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스포츠 시설은 국제 수영센터를 포함한 각종 인도어 스포츠 센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부 프로그램은 건축볼륨에 다양한 크기로 건축화한다. 그중 그라운드 레벨의 퍼블릭 스페이스는 외부자연환경과의 접점을 최대한 유지하는 오픈플랜으로 계획, 외부환경을 내부로 유입시키며 공원 속으로 동조된다. 그리고 상층부의 다양한 볼륨을 마감하는 벽돌의 솔리드함과 대조를 이루며 전체 건축물을 지면으로 들어 올리는 시퀀스를 형성, 스포츠 센터의 캐릭터를 부여한다. 특히 내부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이미지화하여 표현한 그래픽은 단순하면서도 벽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리는 유용한 건축디자인으로 보인다. revi..
비욘드 더 스크린은 서울 내발산동에 위치한 복합주거로 인근에 위치한 주거와는 사뭇 다른 외형적 특징을 보인다. 건축주와 거주자 그리고 어반스케이프의 맥락 연결 등의 요구조건들을 수용하며 컴팩트한 볼륨 속에 풍부한 거주공간 확보를 목표로 비욘드 더 스크린은 설계된다. 도로의 모퉁이에 위치함에 따른 도로사선의 적용은 거대한 단일볼륨을 형태적으로 디자인하는 요소로 사용되며 벽돌로 마감된 외관에 캐릭터를 부여한다. 사실 동 서로 구분된 두개의 볼륨이 접합된 내부 구조는 중앙부에 위치한 계단실, 복도-브릿지-로 연결되며 그라운드 레벨에 위치한 상가와 필로티 주차장, 그리고 그 위로 각기 다른 주거유닛 14개가 4개층에 걸쳐 위치한다. 특히 비욘드 더 스크린에 캐릭터를 불어 넣는 외부 벽돌 디테일은 내부에 풍부한 ..
바로셀로나 북서측 Sant Esteve de Palautordera 빌리지에 위치한 단독주거 증축 및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댄싱커플'을 테마로 진행되는 주거계획은 기존공간과 새롭게 증축되는 공간을 통합, 안락한 주거공간을 추구하는 동시에 각 동의 개별적인 캐릭터를 갖는 주거건축을 지향한다. -건축주의 요청에 의해 확장된 공간은 기존공간 만큼의 크기를 필요로 한다. 동등한 입장으로 접합되는 2개의 볼륨- 기존공간의 구축 방법론, 재료의 물성, 창문 등에 대한 프로포션, 디멘젼, 볼륨은 새롭게 증축되는 공간과의 유사성을 연속시키는 매개체로 2개의 건축물을 하나의 주거공간으로 묶는 동시에 개별화 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증축공간은 벽돌, 시멘트회반죽, 백색 페인트를 이용 세로 줄무늬로 파사드를, 기..
시간을 연결한다. 그리고 장소와 문화를 연결한다. 오랜시간동안 새겨진 문화는 공간 속에 투영되어 응집력 있는 장소로 숙성된다. 여기 "cishangweiyang" 프로젝트는 지역적 문화를 계승 발전 장소에 투영함으로써 시공간을 뛰어넘는 장면을 연출한다. 여기에 지역적 특징인 고대의 가마터와 여기서 출품된 도자기류를 주제로 중국 전통의 건축적 특징을 현대적인 공간 기법으로 슬기롭게 풀어낸다. 그리고 지역적 문맥의 연결을 통한 열린 공간, 지역적 재료를 이용한 친자연적 화법은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을 공간에 베어 낸다. reviewed by SJ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cishangweiyang' project by beijing-based tonghe shanzhi 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