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o Weave-Lea Bridge Library Pavilion Waltham Forest의 지역문화 활성화를 목적으로 런던동부 Lea Bridge Library의 증측프로젝트가 시작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런던에 위치한 Studio Weave가 진행하였으며, 기존 건물로 부터 카페와 커뮤니티센터가 확장되었다. London-based architecture practice Studio Weave has extended the Grade II listed Lea Bridge Library in East London, adding a cafe and adaptable community space with an improved connection to the library’s gardens, resul..
Estudio MMX "consciously synthesizes" Maya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 Yucatán museum 멕시코 유카탄 뮤지엄은 고대 마야문명의 흔적으로 찾아간다. 그들의 찬란한 문명 한가운데, 재해석한 건축을 간결하며 정리된 언어로 표현한다. 무엇보다 장중한 무게감이 시공간을 무색하게 만든다. Mexican architecture firm Estudio MMX has unveiled the Progreso Museum of Geology, which is made of multiple structures clad in a finish called chukum that dates back to the Mayans. Mexico City-base..
Colectivo C733-Music House 새로운 커뮤니티 센터는 다양한 지역문화를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 제공된다. 32*24크기의 오픈플랜을 중심으로 화장실, 주방, 셀러가 지원시설로 준비된다. 반층 위에는 지역 음악가를 위한 스테이지 또는 워크샵공간이 구성된다. Music and festivities play a fundamental role in Nacajuca´s daily life, both in the Mesoamerican rooted pochó dance and in contemporary manifestations. The new Community Center reuses the foundations of the pre existed building and provides spac..
JKMM and ILO architects extend Helsinki's Cable Factory with metal-clad dance centre 헬싱키에 위치한 이전 케이블 공장은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초기지로 재구성된다. 대형 큐빅의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외관디자인은 댄스하우스를 구축하는 구조체 역활과 건축의 디자인방향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중력에 대항하는 춤의 가벼움 또한 외관 디자인의 부유하는 이미지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A large steel clad cube encloses the Dance House in Helsinki, which local architecture studios JKMM and ILO architects have created by conver..
THAD-Yunzhai Village Community Activity Center 쇠퇴하는 지역문화를 부흥시키기 위한 프로젝트. 비교적 작은대지, 건축면적 그리고 한정적인 예산으로 진행되야 하는 프로젝트지만 최소한의 노력으로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내부지향적인 공간은 약간은 미로 같은 공간구조로 방문객들과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즐거움과 경험을 선사한다. Yunzhai Village of Changyuan City in Henan Province, where the project is located, is an ordinary village with typical features of rural area in Central China. During the pas..
유난지역의 유명한 '돌숲'으로 부터 박물관의 모티브는 시작된다. 수많에 걸쳐 생성된 날것 그대로의 자연은 강렬하면서도 아름다운 풍경을 전달한다. 마치 소중한 보물을 담은 보물상자들이 켜켜이 적층되어 있는 것처럼. 건축가는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부터 추출된 은유; 컨테이너와 같은 인공구조물이 적층된 듯한 장면을 연출한다. 반대로 장중한 단일메스를 나선형태로 분절한 개별적인 장면을 연출하기도 한다. 박물관 디자인 구성 박물관 입구는 좁은 통로로 부터 시작된다. 돌숲을 통과하는 구불구불한 길과 같은 통로를 따라 그 끝에는 중앙 아트리움의 광대한 오픈 스페이스가 펼쳐진다.외부 규모는 전시회 공간과 관리 사무소 공간 사이에 구분을 암묵적으로 보여주는 기준선이 수직적으로 그어져 있다. 이 선은 또한 유난의 천연 돌의..
Wingårdhs-Liljevalchs+ Museum Liljevalchs뮤지엄은 가장 단순한 형태와 최소의 재료로 건축공간의 순수한 본질을 표현하는 작업이다. 노출콘크리트의 바탕은 작품전시를 위해 돋보이지 않는 방법을 선택했다. 대신,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박힌, 유리병 바닥같은 원형 유리를 통해 독창적인 건축어휘를 발현한다. The addition to Liljevalchs Konsthall is reserved without cowering. Its posture is that of a discreet aide attending to the existing art gallery. A small, precisely tailored operation. One hundred seventy square ..
맨체스터 대학 내 워트워스 아트 갤러리 리노베이션, 19세기초 건립된 건물과 후면에 인접한 공원(자연)과의 밀접한 관계생성을 위해 매개공간을 구축한다. 오픈환경을 제공하는 글래스 박스, 그리고 기존 벽돌과 새롭게 추가된 메탈이 풍부한 건축환경을 생성한다. 기존 갤러리 또한 거대한 국제전시를 위해 19세기 원통, 아치형 천장이 복원된다. reviewed by SJ,오사 the whitworth art gallery, part of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has been shortlisted for the RIBA stirling prize following its £15 million redevelopment by MUMA (mcinnes usher mcknight archi..
Edinburgh Sculpture Workshop (ESW) are an organisation that offers a base for artists, providing studios, exhibition spaces, workshops and accommodation. Architects: Sutherland Hussey Harris Location: 25 Hawthornvale, Edinburgh, Edinburgh EH6 4JT, UK Area: 2900.0 sqm Project Year: 2015 Photographs: Keith Hunter, Sam Proctor, Courtesy of Sutherland Hussey Harris Project Managers & QS: Thomson Bet..
오스트리아 펠트키르히 다목적 문화센터의 지향점은 주변환경을 투영한 장소성 구축과 도시 문화 및 공용생활에 필요한 시설 제공에 초점을 둔다. 중세도시, 펠트키르히의 역사적인 도시환경과 내부의 합리적인 모던이 결합된 건축환경은 지역재료인, 주라마블 석재를 사용, 지역색이 포함된 아이텐티를 구현한다. -주라 마블; 라임스톤을 버티컬 패널(폭 30*길이 200*두께4cm)로 제작, 유연한 외형을 구축한다.- 도시와 관계설정 이는 기존 어반패브릭(도시환경)과 새로운 문화공간의 교차점을 절묘하게 절충하는 유연한 곡선과 이를 바탕으로 확장되는 오픈공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강줄기를 따라 배치된 센터의 입지적 환경은 광장 3개와 마주하며 투명한 전면성으로 외부환경을 내부로 자연스레 연속시킨다. 내부로 유입된 외..
퍼블릭 스페이스와 프라빗 스페이스의 교집합은 합집합의 결과물로 도출된다. 시라사기 박물관의 독특한 건축구성은 지역의 다양한 컨텐츠를 연결하는 루트와 개인적 사색을 위한 원형 루트가 교차하는 건축공간에서 시작한다. 교차하는 루트를 기점으로 두개의 동은 개인적인 주거공간과 외부에 개방되는 박물관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건축의 시작은 지역적 문맥, 형식을 반영한 모놀리틱한 박공지붕형태의 건축형태와 재료에, 박물관의 유니크한 특성을 설명하는 화이트 컬러의 건축마감 및 스타일에 기인한다. 건축이 바라보는 지향점은 사용자, 거주자, 건축주가 바라보는 지향점과 동일하다. 자신만의 고유한 사유공간을 지역, 외부에 개방, 유입시키는 박물관의 독특한 공간구성은 건축이 작은 부분에서 적용될 것이 아니라 더 넓은 의미에서 접근..
Trollstigen 고원의 위치와 특성을 향상시킨 이번 프로젝트 작업 시 요소와 재료에 대한 사려깊은 고려가 함께 했다. 지역의 성격을 강조하고, 이에 기능적 시설을 적용하여 이 곳을 방문하는 방문자들의 경험을 향상시킨다. 동적인 요소로서의 물 개념을 통해 이 지역의 독창적 공간을 묘사하고 확장시키는 관계를 공고히 했다. The project enhances the experience of the Trollstigen plateau’s location and nature. Thoughtfulness regarding elements and materials underscore the site’s nature and character, and well-adapted, functional facilit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