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다음 본사가 시사하는 바는 지금의 건축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는 해안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차원적이며 물리적인 소통과 교류를 위하여 일반적인 기업은 교통이 편리하거나 도심지에 위치하여 물리적인 관계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제주도에 위치한 다음 본사는 이러한 물리적인 한계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지 않고 IT라는 특수한 상황에 맞추어서 새롭게 생각합니다. 이것은 다음이 가지고 있는 기업의 특수성과 접목되어 물리적인 한계를 굳이 반영하지 않아도 되는 디지털의 관계성을 실질적인 현실세계에 반영하는데 있습니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것처럼 디지털의 세계에는 물리적인 거리 또는 한계는 존재 하지 않습니다. 서울과 뉴욕이 비록 시간대는 다르지만 같은 시간을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
상파울로의 새로운 랜드마크 타워는 그 유려한 곡선이 주는 아름다움은 물론이며 내부 공간에 대한 쾌적성과 기능성에 중점을 둔 오피스 타워 입니다. 마치 우아한 돛을 닮아 있는 타워의 곡면은 내부의 플렉시블한 조닝과 기능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상파울로를 조망 할 수 있는 파노라마 뷰를 제공합니다. reviewed by SJ International architecture firm Kohn Pedersen Fox Associates (KPF) is pleased to announce the completion of Infinity Tower. Located in São Paulo’s new financial district, steps away from Faria Lima, this unique, next‐ge..
건축공간과 자연을 하나로 묶는 연결고리는 무엇일까요? 건축은 자연을 함축적으로 담아 표현 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의문은 아자하 그룹의 본사 프로젝트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주변 랜드스케이프를 고스란히 담아 내는 건축물의 형태는 멀리 보이는 산세를 모방 및 미니멀하게 구축한 건축물의 지붕형태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이것은 대지를 건축물의 아이콘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이질적인 건축공간에 자연을 도입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특히 두개의 파티오로 구성된 건축물 사이에 형성된 중정은 외부 방문객과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구심점으로 작용하며 퍼블릭과 프라빗의 상반된 영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공간적 깊이를 보여줍니다. -내부 중정으로 열린 전창시스템은 분리된 두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중정을 통하여 하나의..
구글이 추구하는 열린공간과 자유분방함은 구글 영국지사에도 반영되어 일반적인 사무공간과는 차별화 되는 독특한 인테리어 디자인 경향을 보여줍니다. 내부와 외부로 구분된 작업공간 이외에 직원들을 위한 미팅룸, 대형 운동공간, 댄스 스튜디오, 카페, 레스토랑 그리고 200명이 수용 가능한 이벤트 룸으로 구성된 내부 프로그램은 직원들의 편의와 복지를 보장해주는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에 구글을 의미하는 다양한 색채계획과 코지한 리빙공간 연출은 집처럼 편안한 구글을 이야기 합니다. 구글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기계적 수치로 계산되는 공간이 아닌 무한한 상상력을 존중하는 공간입니다. 그것이 구글을 만드는 힘이기 때문이겠죠. reviewed by SJ Okay London, it took a lot of restr..
4개층이 오픈된 센터 아트리움은 전체 오피스 스페이스를 통합하는 동시에 균형있는 스페이스 조닝을 만들어 내어,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분리되어 있는 파트별 공간에 독립성을 보장해주는 동시에 유기적인 연결관계를 구성합니다. 분리되어 있는 각공간으로 필터링된 공기와 빛을 유입시켜주는 내부 중정은 내부공간이 깊어짐에 따라 반비례적으로 저하되는 내부환경을 컨트롤 합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디자인은 재료와 설비적 조건과 합쳐져 시너지 효과를 냅니다. 내부에 설치된 그린월과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시스템처럼 말입니다. reviewed by SJ William McDonough + Partners, together with D/DOCK, designed a new office building for Bosch Siemens..
D38 오피스를 구축하는 방식은 더하기 아니라 빼기 입니다. 총 6개의 동으로 이루어질 오피스블록은 오피스-파크내 위치하며 3단계에 걸쳐 순차적인 장기플랜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순차적 개발은 현재 프로그램의 요구를 수용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장차 완성될 마스터플랜 또한 만족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은 모듈을 바탕으로 한 플렉시블한 설계를 요구합니다. -현재 빌딩 1의 경우는 7.5X7.5 기본 모듈을 베이스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평면조합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각 오피스빌딩은 52.5X52.5 가로 세로 길이에 46.5 높이의 체적에서 각 공간의 프로그램과 기능에 부합되는 공간만을 모듈로 채워 나갑니다. 이렇게 채워진 공간의 나머지는 전체 큐빅에서 빠져 나감으로써 공간의 ..
공간의 시작은 일반적인 중정형 타입에서 시작합니다. 여기서 시작된 공간구성은 외부에 반투명한 레이어를 설치, 외부와의 관계성을 원할하게 하는 한편 내부로는 막힘없는 높은 층고의 테라스를 계획하여 공간이 깊어져 내부로 유입되는 일사량이 적절히 유도되도록 계획되었습니다. 여기에 반투명한 외피와는 대조되는 솔리드 큐빅을 캔틸레버 구조로 계획하여 퍼블릭 스페이스와 확연히 구분되는 -프라이버시 확보- 프라빗 스페이스를 첨부 하였습니다. 이러한 비쥬얼은 도시개발 프로젝트에 속해 있는 건축물에 캐릭터를 부여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환경적인 요인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장치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이며 사람들의 유입에도 깊이 관여 됩니다. 이러한 관계를 만드는 촉매제는 외피를 덮고 있는 아노다이징 처리한 알루미늄 펀칭 판넬입니다..
유엔스튜디오는 이야기 합니다. 그릇에 담길 내용물에 따라 그릇의 형태와 볼륨은 변화합니다. 국물을 넓은 접시에 담지 못하듯이 지난 세기의 획일화된 오피스 타입은 급격히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작업환경에 대응하기에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여기 천편일률적인 사무실에 새로운 오피스빌딩 타입을 제안합니다. 버츄얼 엔지니어링 센터 오피스는 건축을 구획하는 볼륨 그리고 볼륨을 지지하는 구조를 통합하는 유기적인 공간을 디자인 합니다. 이러한 새로운 오피스 타입의 제안은 건축요소인 솔리드와 보이드를 이용한 통합적인 디자인에서 시작되며 회사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비획일화되는 작업환경에 대응하도록 계획 됩니다. 특히 원형 파사드에 디자인 된 톱니형태의 연속적인 띠창은 내부의 연속적인 뷰포인트를 확보하는 동시에..
비엔나에 위치한 마이크로 소프트 사옥은 가상의 공간과 현재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버무리는데 목표가 있습니다. 이러한 컨셉은 각기 다른 테마의 컨퍼런스 룸과 워킹 스페이스로 구성되며 유쾌한 퍼블릭 스페이스에서 죠율됩니다. 자칫 산만해 보일 수 있는 다양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파티션의 역활은 때로는 투명한 유리로 때로는 바닥에 깔린 다른 패턴감으로 때로는 솔리드 월과 그린월로 디자인되며 버츄얼 스페이스와 현재의 펑션스페이스를 조화롭게 구분 짓습니다. reviewed by SJ ARGE KOOP/INNOCAD emerged as winners in the architecture competition for Microsoft’s new headquarters in Vienna, held on t..
이탈리아 밀란 외곽지대에 위치한 산 도나토에 새롭게 제안되는 이엔아이 헤드쿼터 컴플렉스는 자연을 생각하고 사람을 담습니다. 기존 직사각형의 공간이 아닌 링형태의 공간은 내부에 자연을 품은 그린스페이스, 오픈에어 중정을 형성하여 주간동안 직원들이 활동적으로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외부환경을 내부로 필터링하여 유입시킵니다. 링 스페이스는 서로의 간섭을 피해 여러개의 동심원을 그리며 각 공간에 알맞는 위치에서 빛과 공기를 순환시킵니다. 이렇게 연속되는 동심원들-링 스페이스-은 새로이 발휘되는 교통의정서에 따라 저탄소 배출을 위한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적용합니다.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에너지의 고효율과 패시브 디자인은 링스페이스가 구축되는 당위성을 자연스럽게 설명해줍니다. 어쩌면 우리에게 필요한 공간의 크기는 직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