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Prangins에 Pierre-Alain Dupraz가 완성한 새 유치원은 비탈길 위에 있던 거대한 주택을 개조한 것이다. 맞물린 형태의 규모를 가진 십자 형태는 인접한 앙상블을 갖춘 특별환 관계를 이우러 냈다. 4개의 용적은 건물을 더 작고 가시적으로 덜 보기 싫게 눈에 띄지 않도록 했다. 6개의 교실은 2개의 그룹으로 조직되어 3개의 낮은 규모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중앙 부분에는 계단이 기능을 하고 있고, 경사로는 보육원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보육원의 규모는 첫번째 윙 구조로 수직적으로 놓여졌다. 지리적인 천연의 조건들이 넓직한 창문을 서로 다르게 위치하게 함으로써 그 특징을 부각시켰는데,콘크리트가 안과 밖에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건물이 지형 안에 단단히 기반을 두게 하고 있다. The ne..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11. 2. 13:00
대만 디자이너, Chu Chih-Kang가 추구하는 인테리어의 주제는 종교(불교)에서 시작된 신성함, 경허함을 실질적인 현실세계로 인도하는 철학적 공간 탐구에 있습니다. 이승과 저승, 현실세계와 사후세계를 구분하는 길다란 에스컬레이터를 따라 지하 깊숙히 자리한 대량의 정보공간(서고)은 이를 위한 전초기지로 원초적인 공간감을 제공합니다. -마치 원시적인 동굴을 체험하는 인상을 풍깁니다.- 재해석된 노출콘크리트 기둥과 날것(재료 본연의 물성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사용)의 재료는 이성적 판단을 요구하는 지식공간을 무아의 세계로 확장시키며, 건축과 철학의 연결고리에 시작을 알립니다. 무엇보다 깊은 공간감이 제공하는 장중함은 원초적인 재료의 물성과 만나, 건축 본연의 자세를 보여줍니다. Fangsuo Booksto..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10. 26. 13:00
Yutaka 유치원은 ‘놀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이란 교육철학 위에 설립된 곳이라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사고를 활동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장려한다. 아이들이 이것 저것 탐험해볼 수 있는 상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키는 공간이 이러한 교육 정책을 실행하는데 필요했다. 이러한 취지에 부응하고자 우리는 ‘kindergarten 유치원’이란 단어의 기원인 ‘children’s garden 아이들의 정원’을 더하려 노력했으며 이는 모자이크 모양의 정원을 통해 아이들의 다양한 활동을 북돋으려 했다. “3가지의 접근”이 ‘놀이를 기반으로한 학습의 정원’을 완성하기 위하여 차용되었다. 첫 번째 접근은 ‘밀도의 디자인’이다. 가구와 벽, 놀이터 시설이 안과 밖으로 배치되어 있어 3개의 ..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10. 23. 13:00
SanaSana 물리치료 및 뷰티 센터는 이번에 사업 확장으로 인해 O Porriño의 산업 지구로 이전하게 되었다. 새로운 공간 안에, 스페인의 Nan Arquitectos는 물리치료를 위한 6개실과 필라테스를 위한 스튜디오 1개실을 만들게 되었다. 또한 건물은 옷을 갈아입을 수 있는 방과, 사무실, 욕실, 뷰티관련 공간 및 유틸리티룸까지 갖추고 있다. 여유로운 치료가 가능하도록 건축가들은 인테리어 전반에 걸쳐 단조로운 재료와 백색 페인트 색으로 칠했고, 옅은 색의 나무를 사용했다. 이러한 색을 택함으로써, 나무의 대조적인 느낌을 강조했고 따뜻함을 더했다. 또한 인테리어는 노출 벽돌과 스틸 파이프를 특성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화이트 워시의 천정을 따라 구성했다. Nan Arquitectos has u..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10. 20. 13:00
Stufish Entertainment Architects은 중국 윈난성 시솽반나에 수중곡예 공연을 하는 다이쇼 극장을 완성하였다. 1,183개의 좌석을 갖춘 다이쇼 극장은 달리안 완다 그룹이 설립하였는데, 총 75분에 걸친 곡예 공연을 위한 이 극장은 19,500 평방미터에 달하며, 지역의 새로운 문화 공연을 위한 공간이 되었다. 또한 아파트와 쇼핑몰, 바와 레스토랑, 호텔, 골프 코스 뿐만 아니라 테마 파크까지 두루 갖춘 종합 공간으로써, 중국 외에도 국제 관광객을 유치하는 주요 관광지가 되었다. Stufish Entertainment Architects have recently completed the Dai Show Theatre, in Xishuangbanna, China, that will b..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10. 2. 13:00
The works that have been conducted are part of a masterplan that was developped in 2007.Due to the growing needs of the city services, the Town Hall was looking for an extension of their site. In order to anticipate these growing needs a masterplan was developped. In this plan the historic site of a 19th century flax-factory was incorporated in the new site of the Town Hall. Redevelopping the ne..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10. 1. 08:30
in sion, a town in the south of switzerland, savioz fabrizzi architectes has created a contemporary music venue by inserting a series of discarded shipping containers within an existing building. the venue’s focal point is a 300-seat concert hall, while dressing rooms, rehearsal space, a ticket office and a public bar make up the remainder of the program. designed to form a cultural hub at the h..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9. 17. 08:30
암스테르담에 있는 반 고흐 뮤지엄은 네덜란드에서도 가장 인기가 좋은 박물관 중에 하나다. 줄어들 줄 모르는 방문객들의 향연은 이 건물들을 위한 Rietveld (1973)과 Kurokawa (1999)의 지적인 솔루션을 요한다. 1999년 Kurokawa는 타원형의 날개에 대한 고심을 통해 넓은 아웃라인을 구성하는 디자인을 구상하게 했다. Kurokawa 건축사무소는 새로운 입구에 대한 초안 디자인을 1999년에 준비했다. 그 뒤 Hans van Heeswijk 건축사무소에서 기존의 날개에 또 다른 솔루션을 창조했는데 놀라울정도의 새로운 전체를 형성하는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냈다. 정문에서 Museumplein(뮤지엄 광장)으로의 진입 작업은 한정된 예산과 18개월의 타이트한 데드라인을 두고 진행되었다. ..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5. 9. 7. 13:00
에덴 시네마의 나쁜 시야성과 폐쇄성은 새로운 디자인을 통하여 변화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시네마 극장을 안내하는 새로운 통로의 형성과 그 통로가 전달하는 메세지에 있다. 다크, 차콜그레이 파사드와 더불어 시네마극장의 주출입 통로에 디스플레이된 시네마 포스터 그리고 네온사인 여기에 마치 영화인들을 위한 레드카펫을 연상시키는 레드 플로어는 이곳 에덴 시네마를 재정의하며 시퀀스의 한꼭지로 공간을 연출시킨다. reviewed by SJ,오사 The facade of the existing building is enclosed and not very visible. The idea is to turn this feature into an advantage by creating a pathway to the cine..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4. 5. 19. 08:30
500m2 공간을 인테리어하는 주요한 테마는 흐름이다. 고객들의 원활한 쇼핑동선의 제공은 가시성 높은 디스플레이와 각 공간의 특성을 잘 살린 독립성 확보와 이를 막힘없이 연결하는 소통공간으로 완성된다. 책을 전시, 판매하는 디스플레이 스페이스와 휴게공간, 컨퍼런스 스페이스, 레스토랑 및 바는 이러한 플랜 속에 배치된다. 기존 아치형 입구를 따라 계획된 내부공간은 중앙부에 위치한 대형홀을 기점으로 각기 다른 테마로 인테리어된 작은 공간들로 연속된다. 여기에 백색으로 페인팅된 바닥과 벽은 책의 가시성 확보 -다크컬러의 책장과 그 속에 비치된 다양한 이미지의 책들- 와 명쾌한 동선구현을 위해 인테리어 된다. 책의 진열공간을 제외한 기타 서비스공간은 블루컬러의 아치로 연결되며 각각 다른컬러와 이미지로 고객들의 ..
5osA 사례/문화/교육(Culture facilities) 2014. 3. 17. 13:00